728x90
메타버스 개념, 사례, 플랫폼 종류, 관련 회사, 메타버스ETF 등 총정리
목차 바로가기
1. 메타버스란?
META (가공,추상) + UNIVERSE (현실세계) = METAVERSE (삼차원 가상세계)
기술적 정의
- 공간 인터넷, 모바일 인터넷의 공간화
서비스적 정의
- 나를 대변하는 아바타를 통해 현실과 유사한 경험 뿐 아니라 현실에서 불가능한 것까지도 경험할 수 있는 서비스
2. 메타버스의 개념
메타버스는 광의의 개념적 성격이 강하다.
용어는 1992년 미국 SF 작가 닐 스티븐슨의 소설 <스노 크래시(Snow Crash)>에서 처음 등장했고, 소설에서 사람들은 메타버스라는 가상의 나라에 들어가기 위해 아바타라는 가상의 신체를 빌려 활동한다.
메타버스 로드맵에서는 라이프로깅(Life-logging), 증강현실(Augmented Reality), 가상 세계(Virtual World), 거울 세계(Mirror World)라는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눈다.
특정한 하나의 영역으로 정의하기는 어렵고 네 가지 유형이 결합해 융합, 발전하고 있는 개념이다보니 메타버스라는 용어 자체가 여러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.
라이프로깅(Life-logging)
- 사람 또는 사물이 경험하는 일상 정보를 디지털화, 데이터화해 수집하고 저장, 묘사하는 공간.
- 예) 페이스북, 링크드인
가상 세계(Virtual World) 또는 가상 현실
- 실제처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한 온라인 디지털 세상으로, 개인 또는 사물의 자아 또는 행위에 초점을 맞춘 공간.
- 예) 영화 <레디 플레이어 원>에서 보여준 가상 게임 공간인 오아시스, 게임, 페이스북 호라이즌
거울 세계(Mirror World)
- 현실 세상을 디지털 세상으로 복제 또는 투영한 공간.
- 예) 구글 어스, 네이버맵, 카카오맵.
증강현실(Augmented Reality)
- 현실 세계 에 있는 아날로그적 물리적 대상에 디지털 데이터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을 적용한 공간.
- 예) <킹스맨>에서 안경을 쓰면 보이지 않던 사람들이 한 공간에 모여 있는 것처럼 보이고 회의하는 장면.
메타버스 2.0 Digital X
- 메타버스 2.0에서의 라이프로깅은 아바타, 즉 디지털 미 (Digital Me)로 재정의.
- 예) 스노우, 스냅챗, 제페토
- XR은 극도로 현실감 있는 디지털 현실을 가능하게 할 것. -> 미래에 스마트폰을 대체할 새로운 혁신 영역
- 디지털 트윈(Digital Twin)은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을 자동화하는 방향이다.
- 예) 의료 정보, 기업 시뮬레이션, 자동화 등
3. 메타버스 플랫폼 종류
1) 제페토
- 개발회사 : 네이버제트 (네이버 손자회사)
- 출시시기 : 2018년 8월
- 출시국가 : 165개국
- 가입자수 : 2억 4000만명
- 투자 기업 : 하이브, YG, JYP
- MZ세대를 중심으로 이용자 증가세 폭발적. 전체 이용자 중 80% 이상이 10대 청소년이고, 90% 이상이 외국인 이용자.
- 아바타들이 만나 대화하고 모임을 갖는 등의 소통 기능에 중점을 두고 있음. 일부 맵에서 간단한 미니 게임을 즐길 수 있음.
- 내년부터는 일반 이용자가 직접 게임 룰을 세팅한 맵을 제작하는 기능을 추가 등 콘텐츠 보강에 힘쓰고 있다.
2) 이프랜드
- 개발회사 : SK텔레콤
- 스마트폰에서 삼차원 아바타로 각종 행사, 모임, 회의 등을 할 수 있는 플랫폼.
- 삼성전자 2021년 8월 27일 갤럭시Z 폴드3, 플립3 등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기념 팬파티를 열기도 하였다.
- 콘퍼런스, 세미나용 룸에서 문서, 동영상 파일을 올려 사용자들끼리 실시간 공유 할 수 있음. 한 룸에 최대 130명까지 수용 가능.
- 2022년까지 가상현실(VR) 디바이스 '오큘러스 퀘스트 2'와 PC에서 구동하는 이프랜드를 만들 예정. 해외 진출 예정.
3) 페이스북 호라이즌
- 개발회사 : 페이스북
- 2020년 9월 호라이즌의 베타 버전 출시.
- 2021년 8월 원격근무 특화 호라이즌 워크룸 베타 버전 출시.
- 내년 호라이즌 정식 버전 출시 계획.
4) 마인크래프트
- 개발회사 : 마이크로소프트 MS
- 2011년 발매, 누적 판매량 2억장.
- 정해진 줄거리 없이 사용자들이 무언가를 창조하고 사용자들끼리 어울려 노는 게임 (샌드박스 게임)
- 2020년 미국 UC 버클리 가상 졸업식 개최.
5) 로블록스, 포크나이트
- 메타버스 게임.
6) 싸이월드 제트
7) 게더타운
8) 동물의숲
반응형
4. 메타버스 관련 회사
1) 페이스북
- 세계 최대 SNS 플랫폼.
- VR 헤드셋 업체 오큘러스 보유.
- VR, AR 관련 기업 적극 인수.
- 마크 저커버그 CEO, 5년 내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선언.
- 호라이즌 다년간 개발 중.
2) 네이버
- 한국형 메타버스 제페토 운영
- AR 아이템 제작용 '제페토 스튜디오'와 가상공간인 월드를 만들 수 있는 '빌드잇'을 활용해 유저들이 직접 컨텐츠를 만들고 업로드함으로써 수익 창출 가능.
- 네이버제트의 지분 89% 보유.
3) 로블록스
- 유저들이 직접 게임을 만들거나 다른 유저가 만든 게임을 즐기는 서비스.
- MAU (월간 활성 이용자 수) 약 1억 5천만명, 미국 9~12세 어린이의 3분의 2가 사용.
- 코딩 없이 게임을 만들어 수익을 올릴 수 있어 다양한 장르의 게임이 지속 생성됨.
- 로블록스 스튜디오(게임 개발 플랫폼)와 로벅스(가상화폐) 기반 수익 모델 구축.
4) 유니티
- 3D 콘텐츠 제작 플랫폼.
- 가상 세계를 구축하고 구동하도록 도와주는 기업.
- 최근 크로스 플랫폼, 인게임 광고가 중요시 되며, 이를 지원하는 서드 파티(Third Party) 게임 엔진의 중요도 증가.
- 글로벌 Top 100 게임사 중 94개가 동사 고객.
5) 마이크로소프트
- 메타버스 접속 기기인 홀로렌즈 개발, 산업용 메타버스 관련 분야에 지속 투자.
- 마인크래프트 인수.
- 클라우드, 빅데이터, 인공지능, 보안, 게임 등 모든 IT분야에서 선도적 지위 구축.
6) 엔비디아
- 외장 GPU 시장에서 80%에 육박하는 점유율 보유.
- 고품질 콘텐츠 제작, 고사양 게임 구동을 위한 PC에는 외장 GPU가 탑재되는 별도의 그래픽 카드 추가로 쓰임.
7) 자이언트스텝
- SM엔터테인먼트 에스파의 아바타인 아이에스파 개발로 메타휴먼 콘텐츠 선도.
- 국내 유일 실시간 XR 라이브 콘텐츠 원스톱 제작 솔루션 보유.
8) 애플
- AR 헤드셋, 글라스 출시를 통해 AR 기기의 대중화 주도할 것으로 예상.
- 2022년 6월 경 진정한 메타버스를 실현시킬 XR 기기를 공개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.
9) 하이브
- 네이버제트에 70억원 투자, 블랙핑크가 제페토 플랫폼에서 팬 사인회 개최.
- 현재 운영 중인 위버스라는 플랫폼을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확장, 발전 시킬 것이라 예상함.
10) 펄어비스
- 신작 게임 '도깨비'를 통해 게임 내 메타버스 구현 예정.
11) 텐센트
- VR 관련 대표기엄 에픽게임즈의 지분 40% 보유.
- 로블록스와 JV를 설립해 중국에서 로블록스 퍼블리싱.
12) VAIV
- 자연어 처리를 시작으로 소셜 빅데이터 분석, AI 플랫폼으로 서비스 확대.
- 공공 부문에서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수주 확보.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5. 메타버스 ETF 4종
1) KBSTAR iSelect 메타버스
- 자산운용사 : KB자산운용
- 기초(비교)지수 : iSelect 메타버스 지수
- 지수 산출 기관 : iSelect (NH투자증권)
- 운용보수 0.45%
- 보유종목 : 하이브 10.55%, SM엔터테인먼트 10.35%, 네이버 9.62%, LG이노텍 8.65%, 카카오 8.6%
2) HANARO Fn K-메타버스MZ
- 자산운용사 : NH-Amundi자산운용
- 기초(비교)지수 FnGuide K-메타버스MZ지수
- 지수 산출 기관 : FnGuide
- 운용보수 0.45%
- 보유종목 : 펄어비스 11.96%, 하이브 11.15%, 네이버 10.04%, LG이노텍 8.77%, LG유플러스 8.72%
3) TIGER Fn 메타버스
- 자산운용사 : 미래에셋자산운용
- 기초(비교)지수 FnGuide 메타버스 테마지수
- 지수 산출 기관 : FnGuide
- 운용보수 0.45%
- 보유종목 : JYP엔터테인먼트 10.44%, 하이브 9.93%, YG엔터테인먼트 9.68%, 네이버 8.84%, LG이노텍 7.92%
4) KODEX Fn-K메타버스액티브
- 자산운용사 : 삼성자산운용
- 기초(비교)지수 FnGuide K-메타버스 지수
- 지수 산출 기관 : FnGuide
- 운용보수 0.5%
- 보유종목 : 하이브 8.45%, 위메이드 8.09%, 네이버 7.95%, 펄어비스 7.91%, 제이콘텐트리 6.98%
본 포스팅은 <한 권으로 마스터하는 메타버스 2022>(한국경제신문) 책을 읽고 요약,발췌 하였습니다.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반응형
'주식 정보 > 주식 용어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시장을 볼 때 많이 사용하는 물가지표 4가지와 조회 사이트 (0) | 2022.06.29 |
---|---|
지산 매매 고민중이라면 <무조건 성공하는 지식산업센터 투자> 핵심 요약 (0) | 2021.09.23 |
[산업] 소재산업 : 석유화학산업 (0) | 2021.07.11 |
[용어] ROE : 경영 성과가 좋은 종목은 어떻게 찾나요? (0) | 2021.07.11 |
[용어] PBR : 자산가치가 높은 종목은 어떻게 찾나요? (0) | 2021.07.11 |